[visionOS] visionOS의 Environment 알아보기
·
Apple/visionOS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시간에는 비전 프로의 OS인 visionOS에 대한 것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EnvironmentvisionO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Window 방식, Volume 방식, Immersive Space 방식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 방식의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Window 가장 먼저 Window는 2D View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visionOS는 하나 이상의 Window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Window는 SwiftUI로 빌드할 수 있으며, 3D 콘텐츠를 추가하여 심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만든 앱이 2D 화면이다 라고 하면 이 Window를 사용해야 합니다..
[iOS] CocoaPods 알아보기
·
Apple/iOS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 개발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CocoaPod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CocoaPods이란? CocoaPods이 뭔지 알아보기 위해 CocoaPods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보겠습니다. https://cocoapods.org/ CocoaPods.orgCocoaPods is built with Ruby and is installable with the default Ruby available on macOS. We recommend you use the default ruby. Using the default Ruby install can require you to use sudo when installing gems. Fu..
[iOS] Live Activity 알아보기
·
Apple/iOS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Live Activity를 사용해보고 싶어서 사용하기 전 간단히 기술 조사를 하고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Live Activity라이브 액티비티는 앱의 최신 데이터를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 잠금화면과 다이나믹 아일랜드(Dynamic Island)에 표시해서 사용자가 라이브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관련된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라이브 액티비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WidgetKit 기능과 SwiftUI를 사용하며, ActivityKit의 역할은 각 라이브 액티비티의 수명 주기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라이브 액티비티에는 제약조건이 있는데 어떤 조건이냐면! 라이브 액티비티는 앱이 종료되지 않는 이상 ..
[Swift] URL 살펴보기
·
Apple/Swift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프로젝트를 공부하면서 많은 의문과 동시에 많은 부족함이 느껴졌던 URL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서론제가 제대로 된 프로젝트(?)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고 어떤 기술들을 쓰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좋은 코드들을 최대한 많이 접해보고 안 보고 코딩도 해보면서 실력을 쌓고자 최근 클론 코딩을 해보고 있는데 제가 배우는 클론 코딩에서 정말 많이 나오는 코드가 URL 관련 코드였습니다. (내부에서 파일을 관리해야 하니 당연한 것 같기도...) 그런데 강의에서는 일단 URL을 쓰라고 하고 URL을 써야 한다고 하니까 쓰긴 하지만 정작 이 URL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처리가 되고 있는지 또, 왜 이 URL을 써야 하는지 궁금증이 들고, 쓰더라도 제대로 원..
[Xcode] LLDB 명령어 살펴보기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LLDB의 명령어가 무엇이 있고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정말 간단하게 쭉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간단한 LLDB 명령어 종류helptargetprocessthreadbreakpointframeexpression (또는 expr)print (또는 p) 각 명령어의 역할명령어 종류를 알아봤으니 이제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help먼저 help 명령어를 알아보자면 보자마자 감이 오신 분들도 있겠지만 LLDB의 모든 명령어와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lldb) help 2. targettarget 명령어는 디버깅할 타겟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타겟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때도 사용됩니다..
[Xcode] LLDB로 디버깅 해보기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인 LLDB(Low-Level Debugger)의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LLDB가 뭘까?LLDB는 Apple의 Xcode에 내장된 디버거로, 개발자들이 코드의 실행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LLDB는 "Low Level Debugger"의 약자로, 애플에서 LLVM 이라는 프로젝트에서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되던 것이 LLDB인데 LLDB는 이전에 사용되던 GDB(GNU Debugger)를 대체하여 Apple 플랫폼에서 기본 디버거로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그냥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Xcode에 내장되어 있는 디버깅 도구 정도로 이해하셔도 좋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