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 통신 회선망
·
CS/네트워크
1.통신회선망 통신회선(Wire) + 망(Network) : 단말기를 컴퓨터(처리계)와 서로 결합한 형태 단말기 및 컴퓨터들은 망에서는 노드(node)로 부른다. 토폴로지(Topology) 노드 간의 연결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의 요소들(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2. 토폴로지 분류 계층형(Tree) 버스형(Bus) 성형(Star) 링형(Ring) 망형(Mesh) 3. 계층형 트리 구조 형태로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는 방식 정보 단말 장치를 추가하기 쉬운 구성이다. 장점으로는 네트워크 관리가 쉽고 확장이 편하며, 네트워크의 신뢰도가 높다. 단점으로는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집중화 되면 네트워크 속도가 떨어지고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4. 버스형 하나의 통신회선을 모든 노드들이 공유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 전송과 전송 데이터의 부호화
·
CS/네트워크
1. 정보전송 방식 직렬 전송 병렬 전송 비동기 전송 동기 전송 2. 직렬 전송 전송선로 1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중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드며, 설치 방법이 간단해서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한다. 3. 병렬 전송 여러 개의 전송로 (또는 채널)을 통해 한 번에 기본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한다. 시스템의 버스(FSB, BSB)에서 많이 사용한다. 단점으로는 비용이 많이 든다. *FSB(Front-Side Bus) : CPU 외부 버스 *BSB(Back-Side Bus) : CPU 내부 버스 4. 비동기 전송 비정기적인 데이터 전송 송신할 데이터가 있을 때 전..
[네트워크 관리] 정보통신, 데이터와 정보
·
CS/네트워크
1. 정보통신 정의 정보통신(ICT) 기능 = 정보처리 기능 + 통신(정보전송) 기능 정보처리(IT) : Information Technologt
[C++] 템플릿, 포인터와 주소, 범위 지정 연산자 ::
·
C++
1. 템플릿: 포괄적 함수(generic function) -템플릿은 인자(매개변수)를 통한 다형성을 제공한다. -함수 중첩은 기능이 같은 함수들을 같은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함수의 매개변수의 형과 수로 구분이 되고, 코드 자체도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코드는 전혀 바뀌지 않고 다른 함수를 필요로 한다면 템플릿을 사용한다. -템플릿은 값 뿐만 아니라 형을 인자로 받는 함수로서 인자로 받은 형에 대하여 함수를 생성시키는 포괄적 함수(generic function)이다. 1.1 템플릿 구현 형식 template 리턴형 함수 이름 (매개변수 리스트) { //함수 코드 } template void SS(T x, T y) // T는 결정하지 않은 자료형 { //함수 코드 } 1.2 템플릿의..
[C++] 함수 중첩과 디폴트 인자
·
C++
1. 함수 중첩(function overloading) 함수 오버로딩이라고도 부름 다형성을 구현하는 한가지 방법이다. C에서는 기능이 같아도 처리하는 자료형에 따라 다른 이름의 함수를 사용한다. C++에서는 하나의 함수 이름을 중첩해서 사용 가능하다. 하나의 함수명을 여러 개의 유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1.1 함수 중첩 예 add(10 ,20)에 의해서는 첫 번째 add()함수가 불려지고, add(10.5,20.3)에 의해서는 두 번째 add() 함수가 불려집니다. 즉, 컴파일러가 실매개변수의 입력 자료형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해당 함수를 연결해줍니다. 1.2 함수 중첩을 하는 2가지 경우 1. 매개변수의 형이 다른 경우 2. 매개변수의 개수가 다른 경우 2. 생성자 중첩 클래스의 멤버함수도 중첩이..
[C++] 객체와 멤버, 변수와 배열
·
C++
1.객체의 멤버 호출 1.1 직접 참조 연산자: . 일반 객체가 멤버(변수 or 함수)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1.2 간접 참조 연산자 : -> 포인터 객체가 멤버(변수 or 함수)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2. 변수(variable) 소스를 작성하면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그때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라고 한다. 변수(variable)란 데이터(data)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즉, 변수란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이렇게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다. 3. 배열(array)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배열 요소(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