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ode] TDD와 XCTest 살펴보기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Test-Driven Development(TDD)의 개념과 Apple의 테스트 프레임워크인 XCTest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테스트의 정의소프트웨어의 품질, 성능, 신뢰성을 확인하는 절차소프트웨어 테스트는 프로그램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수동 테스트는 사람이 직접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자동 테스트는 테스팅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실행하는 테스팅 방식수동 테스트의 장단점장점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반영한 테스트 가능기능이 자주 변경되는 초기 개발 단계 상황에서 적합UI/UX등 직관적인 부분 확인 용이단점시간이 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듦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모든 기..
[Xcode] Xcode 16 pod init 에러 이슈 해결법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Xcode 16버전에서 pod init을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결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RxSwift 공부하려다가 에러가 발생해서 계속 밀리고 있었네요...) 아마 해당 이슈는 현재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Xcode 16이 나온지 얼마 안 된 시점이라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해결될 것이지만 당장 사용해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문제의 화면!터미널에서 프로젝트 파일을 열고 pod init을 입력하면 위와 같이 에러가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 분들은 제가 아래에 정리한 방법처럼 한번 시도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프로젝트 생성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어야 합니다...
[Xcode] LLDB 명령어 살펴보기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LLDB의 명령어가 무엇이 있고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정말 간단하게 쭉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간단한 LLDB 명령어 종류helptargetprocessthreadbreakpointframeexpression (또는 expr)print (또는 p) 각 명령어의 역할명령어 종류를 알아봤으니 이제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help먼저 help 명령어를 알아보자면 보자마자 감이 오신 분들도 있겠지만 LLDB의 모든 명령어와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lldb) help 2. targettarget 명령어는 디버깅할 타겟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타겟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때도 사용됩니다..
[Xcode] LLDB로 디버깅 해보기
·
Apple/Xcod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인 LLDB(Low-Level Debugger)의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LLDB가 뭘까?LLDB는 Apple의 Xcode에 내장된 디버거로, 개발자들이 코드의 실행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LLDB는 "Low Level Debugger"의 약자로, 애플에서 LLVM 이라는 프로젝트에서 서브 프로젝트로 진행되던 것이 LLDB인데 LLDB는 이전에 사용되던 GDB(GNU Debugger)를 대체하여 Apple 플랫폼에서 기본 디버거로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그냥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Xcode에 내장되어 있는 디버깅 도구 정도로 이해하셔도 좋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