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화면 전환 방식 (Present, NavigationController + Source, NavigationController + Segue)
·
Apple/iOS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 개발을 할 때 알고 있어야 하는 것 중 하나인 화면 전환 방식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iOS 개발에서 대표적인 화면 전환 방식에는 present 방식, 네비게이션 컨트롤러 + 소스(push), 그리고 네비게이션 컨트롤러 + Segue가 있습니다. 각 방식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resent 방식present 방식은 현재 뷰 컨트롤러에서 새로운 뷰 컨트롤러를 모달로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일시적인 정보나 작업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UIViewController에 정의된 present메소드를 사용합니다. 공식문서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https://develope..
[SwiftUI] 상태 프로퍼티(State Property)
·
Apple/SwiftUI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wiftUI의 상태 프로퍼티(State Property)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론 SwiftUI는 앱 개발에 있어서 데이터 중심의 접근 방식을 선호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뷰가 기본 데이터가 변할 때마다 별도의 업데이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갱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와 뷰 사이에 마련된 게시자(publisher)와 구독자(subscriber)의 관계를 통해 가능해집니다. SwiftUI는 이러한 데이터 주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 도구를 제공합니다. 상태 프로퍼티(State properties), 관찰 가능한 객체(Observable objects), 상태 객체(State..
[SwiftUI] SwiftUI 스택 정렬(VStack, HStack, ZStack)과 정렬 가이드
·
Apple/SwiftUI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시간에는 SwiftUI를 배우면 꼭 알아야 하는 스택 정렬과 정렬 가이드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컨테이너 정렬SwiftUI 스택을 사용할 때 가장 기본적인 정렬 방법은 컨테이너 정렬입니다.  컨테이너 정렬이란 스택에 포함된 하위 뷰들이 스택 내에서 정렬되는 방식을 말하는데, 스택에 포함된 각각의 뷰에 지정된 정렬이 따로 없다면, 스택에 적용한 정렬이 하위 뷰에 적용되게 됩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 적용된 정렬이 없는 하위 뷰에 상위 뷰의 정렬 방법이 적용되는 것을 암묵적으로 정렬(implicitly aligned)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정렬을 할 때 중요한 점은 HStack은 하위 뷰를 수직 방향으로 정렬을 하고, VStack은 하위 뷰..
[Swift] 배열(Array)
·
Apple/Swift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wift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인 배열(Array)에 대해 알아보고 Swift 배열의 기본 개념, 생성, 조작 방법, 그리고 고급 기능들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Swift 배열이란?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값들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컬렉션 타입입니다. 배열은 인덱스를 통해 요소에 접근할 수 있으며, 요소의 순서는 배열에 추가된 순서대로 유지됩니다. Swift 배열은 값 타입(value type)으로, 복사 시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배열의 생성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대괄호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빈 배열 생성var emptyArray: [Int] = []..
[DataBase]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관리하기
·
CS/Database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 중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과 테이블 생성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들어가기에 앞서서 MySQL이 관리하는 것들에 대해서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MySQL을 설치하면 DBMS가 설치될 거고,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갖게 될 겁니다. 그리고 그 데이터베이스 안에는 여러개의 테이블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말이죠!우리는 이런 구조로 MySQL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MySQL이 관리하는 것MySQL이 관리하는 것들을 살펴보면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하게 되고 그 데이터베이스들은 테이블들을 관리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또  테이블은 데이터를 의미하는 행과 열들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데이터 정확하게는 열에는 ..
[CS지식] 동기와 비동기 방식 완벽 이해하기
·
IT 지식
안녕하세요! 피피아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인 '동기'와 '비동기'에 대해 간단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에 대해서 접할 때가 있는데 정확한 개념과 어떤 경우에 각각의 방식이 쓰이는지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동기 방식 (Synchronous) 동기 방식 (Synchronous)은 요청과 그 결과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을 말합니다. 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코드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코드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이는 마치 질문을 하고 답변을 듣는 과정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들을 때까지 다음 질문을 하지 않는 것과 유사합니다. 동기 방식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카페에서 커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