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정보전송방식과 기술
·
CS/네트워크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 정보전송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보전송 시스템 모든 단말의 정보는 디지털 방식의 전기적 신호로 전달합니다.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거나 원래의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변조, 복조 작업이 정보 전송 전/후에 이루어지게 됩니다. 정보를 전송하려면 이러한 데이터의 변조, 신호의 복조 그리고 신호 전달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필요합니다.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단말장치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종단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ex: 컴퓨터, 라우터, 스마트폰 등) 원격의 종단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DCE 장치가 필요한데 DCE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관리] 통신회선과 다중화 전송
·
CS/네트워크
1. 통신회선의 접속 방식의 종류와 특징통신회선의 접속 방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통신회선 접속 방식은 4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점-대-점 회선 방식(Point-to-Point Line), 다지점 회선 방식(Multipoint Line), 집선 회선 방식(Line Concentration), 회선 다중 방식(Line Multiplexing) 이렇게 나누어 집니다.1.1 점-대-점 회선 방식Point-to-Point Line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한다.두 장치간 전용 링크(link)로 활용한다.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 간의 전송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다.주로 고속 통신/처리에 이용한다.FSB, BSB응답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회선 구축에 많은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