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정보전송방식과 기술
·
CS/네트워크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 정보전송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정보전송 시스템 모든 단말의 정보는 디지털 방식의 전기적 신호로 전달합니다.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거나 원래의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변조, 복조 작업이 정보 전송 전/후에 이루어지게 됩니다. 정보를 전송하려면 이러한 데이터의 변조, 신호의 복조 그리고 신호 전달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필요합니다.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단말장치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종단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ex: 컴퓨터, 라우터, 스마트폰 등) 원격의 종단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DCE 장치가 필요한데 DCE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관리] 정보 신호와 신호 변환
·
CS/네트워크
1. 정보 신호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1.1 아날로그 신호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자기파(또는 신호)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 자연스러움 측정 값을 시간 축으로 보았을 때 곡선 형태로 표현된다. 장점: 무한한 정보 표시 단점: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가 감쇠된다.(감쇠현상), 외부 간섭에 약하다. 1.2 디지털 신호 손가락(Digit)에서 유래 0과 1로 구분되는 이산적인 신호 정해진 전압 값(유한) 인공적이다. 장점: 데이터 무결성 보장, 데이터 안정성 증대(암호화 적용 가능), 아날로그 신호 대비 낮은 오류율 2. 신호 변환 디지털 전송 아날로그 전송 2.1 디지털 전송 디지털 -> 디지털 : 각 신호에 해당되는 전압 변경 ex) DSU(Digital Service Unit) 아날로그 ->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