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DoD에서 정의한 모델로 OSI 7계층 모델과 유사하다.
- OSI보다 먼저 정의 되었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와 상호 접속이 가능하다. (어느 나라에서든 채택해서 사용 중)
TCP/IP 계층 구조
- OSI 계층 모델에 대응되는 상호 통신을 위한 각 계층별 프로토콜을 정의
- 응용 계층은 OSI 계층 모델에서 5계층 이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 3, 4계층은 운영체제에서 처리하고 1, 2계층은 이더넷 장치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처리한다.
- OSI에서는 전체를 7계층으로 표현하지만 TCP/IP는 전체를 4계층으로 표현한다.
-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 Application
- Transport -> Transport
- Network -> Network
- Data Link, Physical -> Network Interface or Internet Access
응용 계층
-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은 응용계층에 포함
- 응용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역할
- 응용프로그램 간의 세션을 연결
- 메시지를 송수신
전송 계층
- EP(End-Point)까지 데이터를 전송
- EP는 주로 프로세스가 됨
- 식별번호가 필요한데 그 식별번호 역할은 포트번호가 하게 됨
네트워크 계층
- 종단 단말기까지 데이터를 전송
- 일반적으로 호스트들은 독립적인 IP주소를 가짐
- 라우터간 패킷 전달 및 경로를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
응용 계층 주요 서비스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DNS (Domain Name Server)
-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Telnet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전송 계층
- Transport Layer
- 종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계층
- 프로세스 간 논리적인 연결을 수행(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서)
- 신뢰성 기능 제공
- TCP와 UDP가 존재(TCP : 연결 지향형, UDP : 비연결 방식)
-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네트워크 계층
- 동일어 : 인터넷 계층
- 송수신 단말기의 주소들을 읽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를 결정
-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 단말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
- 종단 주소 : IP Address
- 데이터 단위 : 패킷 or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접근/인터페이스 계층
- 동일어 : 인터넷 접근 계층
- 전기적인 신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그 외에도 광이나 전파 등 다양한 방법으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OSI 참조 모델의 1, 2계층의 역할을 담당하고 LAN 카드 및 다양한 이더넷 장치에 해당
- 데이터 단위 : 프레임
감사합니다.
틀린 부분이 있거나 더 좋은 내용 훈수 환영합니다!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IP, TCP, UDP (2) | 2023.10.09 |
---|---|
[네트워크] Internet Protocol (0) | 2023.10.07 |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계층과 주요 기능 (2) | 2023.10.04 |
[네트워크] OSI 7계층 프로토콜과 물리계층 (0) | 2023.10.03 |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와 기능 (2) | 2023.10.01 |